전체 글 19

2025년도 상반기 ICT 인턴십 경험기

올해 상반기, 저는 대학 생활 중 가장 값진 실무 경험 중 하나였던 ICT 인턴십에 참여했습니다. 지원 동기부터 진행 과정, 그리고 끝난 후 느낀 점까지 솔직하게 담아보려 합니다. 저처럼 ICT 분야 직업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1. ICT 인턴십 지원 — 실무를 꿈꾸며 도전하다 예전부터 인턴이 늘 궁금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인턴을 꼭 해보라고 말하는 이유, 기업들이 왜 '중고 신입'을 선호하는지 직접 경험해보고 싶었습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이론과 프로젝트도 분명 도움이 됐지만, 결국 그 모든 경험은 실무를 준비하는 과정일 뿐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상반기 ICT 인턴십에 지원하였고, 짧은 기간이지만 실제 현장을 직접 겪어볼 수 있었습니다. 책이나 강의로는 느낄..

ICT인턴십 2025.07.01

docker와 리눅스 명령어 실습2

Docker명령어저번 내용에 이어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에는 Ubuntu 이미지를 다운로드한 후 컨테이너를 띄우는 작업까지 완료가 되었습니다. 다음으로는 container를 확인해보겠습니다. container 확인이제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를 확인해보겠습니다.docker ps 실행 중인 Ubuntu 컨테이너 목록에는 컨테이너 ID와 이미지 이름 등이 표시됩니다. 앞에서 -d를 안 쓰면 컨테이너의 터미널로 커서가 이동한다고 하였는데, -d로 백그라운드 실행한 컨테이너에는 다음 명령어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bash셸로 접속)docker exec -it ubuntu bash Docker로 Ubuntu 22.04 컨테이너에 접속하면 프롬프트가 root@:/# 형태로 표시되며, root 사용자 셸에 진..

웹 개발 2025.06.22

docker와 리눅스 명령어 실습1

WSL와 Docker의 차이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통해 Ubuntu 등 리눅스 환경을 사용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도 충분히 리눅스 실습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Docker(도커)를 활용하면 WSL과는 또 다른 방식으로 리눅스 환경을 다뤄볼 수 있습니다.Docker는 내부적으로는 가상화 기술(Hyper-V)을 사용하지만, 전통적인 가상 머신과 달리 운영체제의 커널을 공유하고 필요한 부분만 격리하는 경량화된 컨테이너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WSL과 Docker의 차이점WSL전체 리눅스 운영체제를 가상 머신(VM) 형태로 Windows 위에 실행하는 방식입니다.Docker는 리눅스 커널을 공유하면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환경만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컨테이너(Contai..

웹 개발 2025.06.22

WSL과 우분투 설치 및 기본 명령어

WSL설치 기본 명령어를 살펴보기에 앞서 WSL과 우분투를 설치해야 합니다.WSL의 설치의 경우, powershell의 관리자 권한을 실행한 후 WSL설치를 진행합니다. wsl --install 저의 경우에는 이미 설치가 완료되어 이러한 문구가 뜨네요.Ubuntu설치 다음으로 WSL이 설치된 윈도우즈 환경에서는 Microsoft Store를 열고 Ubuntu를 검색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저희는 안정성이 검증된 Ubuntu 22.04 LTS를 사용하겠습니다. 우분투 설치 후 처음 실행하면 리눅스에서 사용할 새 사용자 계정을 만들도록 요청하며,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계정이 생성됩니다.Ubuntu(리눅스)를 처음 실행하면 새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야 하며, 이는 일반 사용자 계정입니다. 리눅스는 ..

웹 개발 2025.06.08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상호작용 2

서버 환경과 운영체제웹 서버 시스템 구성 요소 본격적으로 웹서버를 다루기 전에, 서버 환경(Server Environment)에 대해 잠시 살펴보겠습니다. 웹서버 같은 프로그램이 작동하려면 이를 구동할 수 있는 컴퓨터(하드웨어)가 필요하고,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가 필요합니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Windows(윈도우)나 macOS(맥), Linux(리눅스) 등이 모두 운영체제에 해당합니다. 운영체제 위에서 웹 서버 같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이 실행되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운영체제 환경운영체제는 GUI 환경과 CLI 환경으로 크게 ..

웹 개발 2025.05.25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상호작용 1

웹 사이트웹사이트는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웹 서버(Web Server)입니다. 사용자는 이를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접근하며, 브라우저는 정보를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웹 클라이언트(Web Client) 역할을 수행합니다. 우리가 정보를 찾기 위해 크롬이나 파이어폭스를 실행해 검색하면, 브라우저는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구조를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이라 하며, 웹 환경에서 기본이 되는 개념입니다. 서버-클라이언트 구조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라는 규칙을 통해 통신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하이퍼텍스트를 주고받기 위한 약속입니다.우리가 웹브..

웹 개발 2025.05.18

웹 개발, 어디서부터 어떻게?

웹사이트 구축의 세계에 첫 발을 내딛는 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빠르게 변화하는 웹 환경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하며,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꿀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 튜토리얼은 그러한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웹의 기초 원리부터 최신 기술 스택을 활용한 실습까지 아우르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안내합니다. 웹 개발이 처음이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차근차근 따라 하다 보면 어느새 자신만의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될 것입니다. 1.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상호작용다룰 내용은 먼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는 것으로 출발합니다. HTTP/HTTPS 프로토콜과 HTML 문법 등 웹의 기본 구조를 알기 쉽게 설명..

웹 개발 2025.05.11

객체 감지 공모전: YOLO 모델과 실전에서의 시행착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제공한 자율주행 공개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카메라와 라이다 기반의 자율주행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공모전에 참가했습니다. 이번 객체 감지 공모전에 도전하면서 정말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부터 필요한 서버 자원 확보까지, 모든 과정이 새로운 도전이었습니다. 우선 대용량 서버를 확보한 후, 본격적으로 객체 감지 모델을 탐색했습니다. 잘 알려진 YOLO 모델 중 YOLO v5와 YOLO v8을 선택하여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어서 팀장님이 YOLO v10 모델로 실험을 하셨고, 최종적으로 이 세 가지 모델을 활용해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했습니다.서버확보 프로젝트의 첫 과제는 서버 확보였습니다. 다행히 학교 교수님의 도움으로 필요한 서버를 구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본격적인 ..

5일 만에 SQLD 합격! 나만의 꿀팁 공개

전공자가 데이터베이스 관련 과목을 수강한 후, 짧은 준비 기간에도 불구하고 SQLD 자격증을 취득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이 과정에서의 도전과 성공의 이야기를 통해, 시간 관리와 우선순위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배경저는 1학기에 데이터베이스 과목을 수강한 후, 여름방학 동안 SQLD 자격증 취득에 도전하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러나 AI 부트캠프와 공모전 준비로 시간이 부족해져, 실제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5일밖에 남지 않았습니다.SQLD 시험 결과시험은 총 두 개의 과목으로 나뉘는데, 1과목에서는 10문제 중 9문제를 맞혔고, 2과목에서는 40문제 중 28문제를 맞히며 합격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번 SQLD 시험의 난이도가 비교적 쉬웠다고들 하더군요. 하지만 급하게 준비한 탓에 2과목에서 실..

자격증 2024.10.02

AI창업 비즈니스 부트캠프 (수료)

부트캠프 활동소개1. AI 창업 부트캠프에 참여하게 된 주된 이유는 평소 관심을 가지고 있던 창업과 AI에 대한 학습 기회였다. AI 기술이 현대 창업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은 만큼, 이 분야에 대한 이해가 창업 준비에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AI를 활용한 창업 방식과 노코드를 통해 상용화된 앱을 구현할 수 있는 기회는 매우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2. 부트캠프에서는 다양한 실습을 통해 복잡한 코딩 없이도 AI 기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음을 직접 확인했다. 이러한 방식이 창업 초기 단계에서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아이디어를 더 빠르게 시장에 선보일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3. 비교적 짧은 교육 기간 동안 전문 지식을 깊이 있게 배우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 ..